차 정보

차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발효
차 용어 풀이

발효

차에서 말하는 발효는 크게 두가지로, 차잎에 포함된 효소작용에 의해 산화시켜 만드는 전(前)발효차와, 미생물에 의해서 발효시켜 만드는 후(後)발효차로 크게 나뉩니다. 전발효차는 발효정도에 따라, 반발효차와 완전발효차로 나뉠 수 있습니다. 차는 찻잎의 형태, 산지, 품종, 채적시기, 건조방법, 가공방법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뉩니다. 이중 발효 정도에 따른 분류법이 가장 과학적인 기준으로 꼽힙니다. 녹차로 대표되는 불발효차는 이름 그대로 발효 과정을 거치지 않은 차입니다. 찻잎을 따서 찌거나 덖어 산화 효소의 활성화를 막아 찻잎 고유의 빛깔을 그대로 잡아둔 것입니다. 반발효차는 찻 잎을 따 어느 정도 두었다가 이를 섞어주는 과정을 통해 일부를 산화시킨 차입니다. 우롱차나 포종차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완전발효차는 홍차로 대표되는데 찻잎의 80% 이상을 발효시킨 차로, 불발효 차나 반발효차보다 맛이 한층 더 깊고 부드럽습니다. 후발효차는 녹차를 제다할 때처럼 먼저 열로 찻잎의 효소를 파괴한 후 인체에 유익한 미생물을 접종해 발효시켜 만듭니다. 한마디로 후발효차는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과정을 거친 차를 말합니다. 중국의 보이차와 오설록 삼다연이 후발효차로 분류되지만, 맛과 향이 천차만별인 이유는 발효를 위해 배양하는 균주의 종류나 저장 방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한국적 발효차로 개발된 삼다 연은 5년간의 연구 과정을 거쳐 개발된 후발효차로, 제주도 유기농 다원에서 재배한 제주산 찻잎을 7일간 적정 온도에서 발효시킨 후 삼나무 통에 넣어 100일간 숙성시켜 완성합니다. 삼다연의 발효를 위해 사용한 균주는 한국 정통 장류에서 추출한 고초균입니다. 정통장류에서 추출한 균주는 한국인의 발효과학의 지혜가 엿보이는 대목입니다. 고급 후발효차의 색향미를 갖춘 삼다연에는 또 하나의 특별한 향이 숨어 있습니다. 제주 삼나무로 만든 통에 넣어 숙성시키는 과정 때문에 특별한 천연 향이 착향된 것입니다. 후발효차 특유의 향과 은은한 삼나무 향이 배어나는 삼다연만의 특별한 다향은 시간과 정성의 합작인 셈입니다.

블렌딩
차 용어 풀이

블렌딩

각기 다른 맛과 향을 지닌 잎차를 섞거나 기본 잎차에 꽃잎이나 과일, 허브나 향 등을 섞는 것입니다. 블렌딩 티의 역사를 알려면 19세기 후반 영국의 티타임으로 시 간을 거슬러야 합니다. 익히 알려진대로 당시 영국에서는 차가 부와 권력의 상징으로 여겨질 만큼 귀했습니다. 차를 재배할 수 없는 환경이라 엄청난 비용을 지불하고 중국에서 차를 수입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 또한 그렇게 들여온 차의 품질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 하는 기술이 필요했는데, 그것이 바로 찻잎을 섞는 기술인 블렌딩입니다. 향이 약한 홍차에 개성 있는 향을 첨가하고 색이 옅은 경우에는 진한 색의 찻잎을 섞는 등 이상적인 맛과 향을 내기 위한 차 연구가 거듭되면서 특별한 블렌딩 티가 하나 둘 완성될 수 있었습니다. 우리에게도 친숙한 얼그레이 역시 19세기 영국 수상을 지낸 얼 그레이 백작이 자신만의 기호에 맞춘 블렌딩 티가 기원입니다. 사실 블렌딩에는 특별한 규칙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베이스가 되는 차의 특징을 파악하는 게 우선입니다 . 녹차의 경우 주로 상큼한 과일이나 꽃이 잘 어울리고, 발효차는 어떤 맛과 향에도 어울리는 매력이 있습니다. 그런 다음 스스로 어떤 차를 즐기고 싶은지 목표를 정한 뒤 어울리는 조합을 궁리해봅니다. 상큼하고 화사한 풍미를 원한다면 말린 꽃잎이나 과일 껍질을 넣고, 풍부한 맛이 끌린다면 생강이나 레몬을 더하는 식입니다. 블렌딩에 자신이 없다면 시판용 제품을 이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이는 차 전문가가 찾아낸 가장 어울리는 조합의 블렌딩이기 때문입니다. 한 발 나아가 이 시판용 블렌딩 티를 계절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테면 오설록의 레드파파야 블랙 티는 일상적으로 따뜻하고 향긋한 차로 즐길 수 있지만 겨울에 는 우유를 더해 따뜻한 밀크티로, 여름에는 시원한 탄산을 더해 아이스티로 변신이 가능합니다.

채엽
차 용어 풀이

채엽

찻잎을 따는 과정을 뜻하는 말로, 그 시기에 따라 녹차의 종류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예로부터 녹차는 이른 봄에 딴 작고 어린 새순으로 만들수록 으 뜸으로 여겼습니다. 봄에 채엽한 찻잎으로 만든 차는 감칠맛이 좋아 인정 받고, 채엽 시기가 늦어질수록 찻잎이 커지며 쓰고 떫은 맛 이 도드라집니다. 더욱이 채엽 시기는 녹차의 명칭을 나누는 잣대이자 찻잎의 크기를 판가름하는 기준이기도 합니다. 찻잎의 채엽 시기에 따른 분류는 한자어와 순우리말 명칭으로 구분합니다. 한자어로 된 차명인 우전자, 곡우차, 입하차, 하차 여름차 , 추차 가을차 는 24절기 중 차와 관계가 있는 절기와 연관됩니다. 우전차 또는 곡우전차는 곡우 4월 20일경 전의 어린 잎으로 만든 차를 뜻하고 곡우차는 곡우 무렵에 딴 찻잎으로 만든 차를 일컫습니다. 이름처럼 입하차는 5월 5일, 입하 무렵에 딴 찻잎으로 만든 차, 하차와 추차는 여름과 가을에 딴 찻잎으로 만든 차를 지칭합니다. 다음으로 순우리말 명칭의 차명입니다. 첫물차, 두물차, 세물차, 끝물차는 곡우차, 입하차, 하차, 추차를 우리말로 바꿔 부른 것으로 첫물차가 그해 처음 딴 찻잎으로 만든 차라는 뜻처럼 채엽 시기를 더 이해하기 쉽도록 차 이름을 바꿔 달았습니다. 채엽 시기는 찻잎의 크기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그 크기에 따른 분류도 알아보자면 세작, 중작, 대작이 있습니다. 작(雀) 이라는 구분이 들어간 것은 모두 곡우 즈음에 채엽한 차 입니다. 무엇이든 알고 마시면 더 맛있습니다. 이른 봄이 시작되는 때, 지난 해 가을부터 겨울을 견디며 웅크리고 있던 녹차가 언 땅이 녹으면 새순을 틔울 시기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1~2월, 봄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세작 한 잔을 마셔보아도 좋은 계절입니다.